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대변 볼 때 피가 나와요 / 혈변

by 건강하자 옥이 2022. 4. 9.
반응형

모든 사람은 살면서 배변습관이 변하거나 변의 형태가 변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평소에 안 먹던 음식을 먹었거나, 상한 음식을 먹거나, 생활환경이 변했거나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몸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 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혈변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혈변에 대해서, 똥 쌀 때.

 

혈변의 원인 / 동반되는 증상

혈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짜장면 색 같은 검은색의 흑변과 선홍색을 띠는 혈변이 있습니다.

 

  • 흑변은 검은 변을 말합니다. 1. 상부위장관 출혈이 있는 경우나, 2. 혈액의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액과 반응하여 헤마틴으로 변하는데 대변에 헤마틴이 섞여 나오면서 어둡게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외로 상부위장관의 출혈이 이라고 해도 출혈량이 많거나 출혈이 급속도로 일어날 경우는 혈액이 위산과 섞일 시간이 없기 때문에 어두운 색의 변이 아닌 적색의 혈변을 배설하기도 합니다. 보통은 상부위장관의 출혈이 일어난 경우는 구토, 현기증, 어지러움, 창백, 쇠약감, 발한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가끔은 시금치, 선지 같은 철분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을 섭취했을 때나 철분약이나 비스무스, 감초로 흑변의 색을 볼 수도 있습니다.

 

  • 혈변은 선홍색의 변을 말합니다. 1. 소장, 대장이나 직장과 같은 하부 위장관의 출혈이 있는 경우 나타납니다. 하부 위장관에서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위액과 섞일 수 없기 때문에 대변의 색이 검지 않습니다. 같은 하부 위장관의 출혈이라고 해도 출혈의 위치가 항문에 가까워질수록 대변의 색은 더 선홍색을 띠게 됩니다. 또 반대로 하부 위장관의 출현인데 대변이 검은색인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혈액이 장에 오랜 기간 머물러서 색이 검게 변했기 때문입니다. 선홍색 혈변의 경우에는 2. 제일 먼저 원인을 '치질'로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홍색 혈변에 점액질이 함께 나오는 경우는 대장의 문제가 원인일 확률이 높습니다. 50세 이상이면서 혈변, 이유 없는 체중감소, 빈혈, 잔변감이 있으면 대장암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질병은 전문적인 진료로 최대한 빠르게 원인을 찾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주의 깊게 관찰하기

혈변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는데 혈변의 양상을 잘 봐 뒀다가 의사에게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출혈의 원인을 추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면 붉은 피만 보이는 경우, 핏덩어리가 보이는 경우, 변의 형태가 있는데 피가 섞여있는 경우, 형태가 없는 설사에 피가 섞인 경우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 7가지를 잘 메모해놨다가 의사와 상담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혈변의 색깔
2. 피가 대변의 겉에 묻어 있는가 혹은 안에 섞여 있는가
3. 변비 또는 설사가 있는가
4. 변이 묽어졌거나 배변 횟수가 증가하면서 변이 가늘어진 경우
5. 참지 못하는 변이나 배변 후에도 시원하지 않고 찝찝할 경우
6. 복통, 체중감소, 발열
7. 배변 시 항문 위주 통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