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레르기
알레르기란 변형된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에게서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 물질에 대한 면역계의 과민반응에 의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을 말합니다.
최근 생활환경이 도시화, 산업화되면서 각종 알레르기 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인구의 20%는 한 가자지 이상의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도 약 6백만 명의 알레르기 환자가 있습니다. 서구화된 생활습관과 가옥 패턴, 대기오염, 화학물질 사용의 증가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의 원인
- 유전적 원인 : 알레르기 질환이 한 가족에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환경적 원인 : 최근 지속적인 알레르기 질환의 증가는 실내생활의 증가, 실내 흡연, 자동차 배기가스, 대기오염의 증가, 외국으로부터 이물질의 유입 같은 환경의 변화가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 혼란을 가져오는 중요한 원인입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발생시키는 외부 물질들을 알레르겐이라고 합니다.
공기 중에 소량섞여서 흡입을 통해 증상을 일으키는 흡입성 물질이 가장 흔합니다. 실내 흡입성 알레르겐으로는 집먼지진드기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하고 있는 알레르겐입니다. 집먼지진드기에 노출이 많을수록 천식 발생이 증가하고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이 증가합니다. 애완동물의 털, 애완동물의 침, 바퀴, 개미, 곰팡이의 알레르겐도 흔합니다. 실외 흡입성 알레르겐으로는 꽃가루, 곰팡이가 있습니다.
계란, 우유, 콩, 땅콩, 견과류, 메밀, 밀, 생선, 어패류 등이 흔한 음식물 알레르겐입니다. 보존제, 조미료, 색소, 식품첨가제에 의해서도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납니다.
알레르기 예방법
알레르기는 만성적인 염증 질환이므로 장기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예방 관리 수칙 천식 실내는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환기를 충분히 하고, 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보건용
healthyok.tistory.com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
-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 체질과 기관지 과민증이 있는 사람에게 알레르기 원인 물질이나 감기, 운동, 기후변화, 담배연기, 공기오염, 자극성 냄새, 정신적 스트레스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기관지 점막 내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고 기관지가 좁아져서 기침, 가래, 호흡곤란, 쌕쌕거리는 소리, 가슴 답답함이 생깁니다. 주로 밤이나 새벽에 악화됩니다. 꽃가루나, 곰팡이같이 특정 물질에 의해서만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 알레르기 비염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이 주로 나타나는 염증질환입니다. 주로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 같은 원인 물질이 코안에 닿아서 콧물이 많이 나오게 되고 코가 가렵고 재채기가 나며 코가 막힙니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천식, 알레르기 결막염, 아토피 피부염과 함께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아토피 피부염
집먼지진드기, 음식물같이 직접 몸안에서 증상을 유발하고 악화시킵니다. 건조한 실내공기, 땀, 자극이 강한 비누, 샴푸, 로션, 나일론 섬유, 침구류로 피부가 심하게 가렵게 하고 건조해지면서 재발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적인 병입니다. 외부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외부 온도와 습도의 급격한 변화를 피해야 하고, 피부를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치료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목욕하고 피부가 완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보습제를 습관을 들여 발라야 합니다.
- 두드러기
두드러기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며 원인을 밝히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생선, 조개, 새우, 계란, 우유, 사과와 같이 음식물 알레르기와 약물 알레르기입니다. 긁히거나, 눌리거나, 심한 운동을 하거나,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거나, 찬물이나 찬 공기에 노출되거나, 햇볕에 노출되었을 때 두드러기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알레르기 결막염
원인균 없이 특성 유발물질에 의해 결막염이 발생합니다. 붓고, 가렵고, 충혈되고, 눈곱이 끼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만 불어도 통증이 느껴지는 통풍에 좋은 음식 / 나쁜 음식 (0) | 2022.05.01 |
---|---|
폐경/폐경이행기(갱년기) 원인,증상 (0) | 2022.04.29 |
알레르기 예방법 (0) | 2022.04.29 |
소변 볼 때 통증, 피가 섞여 나오는 혈뇨 / 방광염 증상, 예방법 (0) | 2022.04.28 |
댓글